전체기사 490

제5회 아름다운 전라도말 자랑대회 개최

제5회 아름다운 전라도말 자랑대회 개최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9월3일까지 참가 접수 ○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과 월간 전라도닷컴은 우리 지역의 멋이 오롯이 담긴 전라도말(사투리)의 보존과 가치를 일깨우기 위해 ‘제5회 아름다운 전라도말 자랑대회’를 9월12일 오후 2시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서 개최한다. ○ 이번 대회는 전라도말을 할 줄 아는 사람이면 지역, 국적 제한없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자는 소담스럽고 정겨운 전라도 삶을 담은 현재나 과거의 일화 등 소재에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발표 형식도 구연, 노래, 낭송 등 제한이 없다. ○ 참가 희망자는 월간 전라도닷컴 홈페이지(누리집 www.jeonlado.com)에서 참가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전자우편 saem@jeonlado...

NEWS/사회/환경 2015.08.17

광주시,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가져

광주시,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가져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14일 광주시청 앞 시민숲 광장에서 광주광역시 주최, 착한사람들의 모임 주관으로 열린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 참석해 인사말씀 후 제막식행사을 가졌다. 광주시가 건립장소를 제공하고 제작은 안경진 작가가 맡았다. 평화의 소녀상은 가로29cm, 세로140cm, 높이150cm로 타 지역의 소녀상과는 달리 일어서 있는 모습으로 제작됐다. 주요참석자는 위안부 피해자 광예남 할머니, 근로정신대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 조영표 광주시의장, 장휘국 교육감, 박혜자 새정치민주연합 광주시당 위원장, 박주선 국회의원, 임내현 국회의원, 전경훈 착한사람들의 모임회장,안경진 조각가 등 참석했다.

NEWS/사회/환경 2015.08.14

담양 관광지 무료개방

담양관광지 무료 개방 [죽녹원] 광복70주년을 맞아 담양군에서는 8월14일 담양관광지 무료 개방을 실시하였다.이번에 무료개방하는 담양관광지는 총 6곳으로죽녹원, 메타세쿼이아길, 소쇄원, 한국대나무박물관, 한국가사문학관, 가마골생태공원은이날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또한 담양은 9월17일부터 10월31일까지 45일간 2015담양세계박람회가 열린다. [메타쉐콰이어] [소쇄원] [가막골생태공원] [가사문학관]

광주패밀리랜드 화려한 빛의 향연

광주패밀리랜드 화려한 빛의 향연 500만개의 화려한 조명과의 만남 광주패밀리핸드는 LED 조명을 이용한 빛축제가 한창이다. 빛축제장에는 무등산 서석대 주상절리, 에펠탑,금문교 등 세계유명 조형물을 미니어처로 제작 전시되어있다.빛축제장은 도심가까운곳에 위치해 접근성이 용이 가족 또는 연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있다. 한여름밤의 빛의 향연 광주패밀리랜드 빛축제는 일몰후 22시까지 운영되고있다.

신세계백화점 1층, 터미널 이용객 편익공간 유지

신세계백화점 1층, 터미널 이용객 편익공간 유지 - 광주시, 금호터미널(주) 변경 제안서 미수용 광주광역시는 금호터미널(주)에서신세계백화점 1층을 터미널 이용고객의 편의시설에서 판매시설로 변경신청제안서를 수용하지 않았다고 13일 밝혔다. 금호터미널(주)는 터미널 사업환경 악화등으로 인해 경영난해소를 위해 백화점1층을 일반판매시설로 변경하는 제안서를 제출한반있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판매시설로 변경되경우 이용자의 휴식공간 축소 ,통행제안의 불편 ,토지이용계획불합리한도시관리계획 결정이 초래할것을 우려해 변경신청 내용을 수용하지 않았다. 현재 신세계 백화점 1층은 갤러리, 공연,전시등을 할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있어 주말에는 가족단위 이용고객이 많이 찾고있다.

NEWS/사회/환경 2015.08.13

광주시, 휴가철 바가지요금 근절 캠페인 실시

광주시, 휴가철 바가지요금 근절 캠페인 실시 광주광역시는 13일 오전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 지구에서 시와 자치구, 한국관광공사 광주전남협력지사, 광주광역시관광협회 소속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국내 관광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바가지 요금을 뿌리 뽑고 공정관광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캠페인을 펼쳤다.

NEWS/사회/환경 2015.08.13

학령전기와 학령기 아동의 말더듬

학령전기와 학령기 아동의 말더듬 말을 더듬는 사람 중 가장 많은 수가 학령전기와 저학년 아동이다. 말더듬이 3~5세 사이에 시작되어 자연적인 회복이 되지 않았거나, 치료하지 않아 유지되는 경우이다. Conture(2001)는 말더듬 치료에 있어서 말을 더듬은 기간이 아동의 연령보다 더 중요하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말을 더듬은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아동에게 말더듬 문제가 고착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령전기와 학령기 아동이 말더듬을 보인다면 무엇보다 빨리 전문기관을 찾아 아동의 말더듬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 많은 학자들은 말더듬 청소년과 성인 치료의 경우 때에 따라 매우 힘들 수도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학령전기와 저학년 아동의 말더듬은 도..

컬럼.기고 2015.08.13